여과시스템
자동 연속 역세 여과장치 & R/O SYSTEM
- 자동 연속역세여과장치 모식도
- 특장점
◦ 역세 노즐을 회전식으로 설계하여 에너지 절감 실현
◦ 카트리지식 필터로 교환 청소가 간단
◦ 구동부를 하부에 설치하여 조작성 개선
◦ 순차적 필터 역세로 생산수 중단 없음
하이브리드 필터프레스(탈수 진공 건조 융복합기 시스템)
- 특장점
◦ 3 IN 1 : 탈수+진공+건조
◦ 함수율 : 99% →15% (슬러지 종류와 성상에 따라 최대 0.5%까지 건조가능)
◦ 이용 가능 열원 : 저압 스팀 2kg/㎠, 120℃ 이상
◦ 경제적 운전 비용
◦ 설비 유지 관리 용이
◦ 2차 오염 발생을 최대한 억제 (밀폐형 탈수&건조, 증발 수분 → 열교환기 통과 응결 회수)
자동연속역세여과 제품사양서
- 키요모토 오토스트레이너
K형 |사양서|
| 스트레이너 사이즈 |
K형·50A | K형·80A | K형·100A | K형·150A | K형·200A |
|---|---|---|---|---|---|
| A | 340 | 390 | 420 | 500 | 590 |
| B | 270 | 285 | 300 | 335 | 415 |
| C | 50A | 80A | 100A | 150A | 200A |
| D | 90 | 85 | 85 | 85 | 115 |
| E | 420 | 515 | 565 | 565 | 730 |
| F | 350 | 350 | 350 | 350 | 470 |
| G | 123 | 140 | 150 | 190 | 225 |
| H | 20A | 32A | 40A | 40A | 50A |
| I | 20A | 25A | 25A | 25A | 40A |
| J | 610 | 645 | 745 | 745 | 980 |
| K | 290 | 345 | 400 | 463 | 565 |
| L | 4-Φ15 | 4-Φ15 | 4-Φ15 | 4-Φ15 | 4-Φ15 |
| M | 1270 | 1305 | 1290 | 1285 | 1475 |
| N | 520 | 550 | 560 | 600 | 640 |
| 질량 약(kg) | 270 | 320 | 375 | 475 | 615 |
| 형식 | K형·50A | K형·80A | K형·100A | K형·150A | K형·200A |
|---|---|---|---|---|---|
| 유량(m3/hr) | 11~25 | 25~45 | 45~80 | 80~140 | 140~260 |
| 카트리지 필터수 | 4 | 5 | 6 | 9 | 11 |
| 억세구경 | 20A | 32A | 40A | 40A | 50A |
| 본체재질 | FC200 | FC200 | FC200 | FC200 | FC200 |
| 모터용량 | 0.1kW | 0.1kW | 0.1kW | 0.1kW | 0.1kW |
- 키요모토 오토스트레이너
B형 |사양서|
| 스트레이너 사이즈 |
B-50A | B-80A | B-100A | B-150A | B-200A | B-250A | B-300A |
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| A | 331 | 445 | 525 | 687 | 837 | 939 | 1051 |
| B | 190 | 280 | 340 | 470 | 580 | 640 | 700 |
| C | 300 | 350 | 400 | 500 | 600 | 650 | 700 |
| D | - | - | - | - | 1104 | 1206 | 1318 |
| E | - | - | - | - | 290 | 315 | 350 |
| F | 140 | 220 | 280 | 400 | 500 | 550 | 600 |
| G | 70 | 110 | 140 | 190 | 240 | 270 | 300 |
| H | Rc1/2 | Rc1/2 | Rc3/4 | Rc3/4 | Rc 1 | Rc 1 | Rc 1 |
하이브리드 필터프레스(탈수 진공 건조 융복합기 시스템)
| 기존방식 (탈수기 + 건조기) | 하이브리드 필터프레스 |
|---|---|
|
- 탈수공정 장비와 건조공정 장비 별도구성 - 탈수케익을 건조장비로 이송, 투입 장치가 필요함 - 슬러지 건조 시에 발생하는 악취 방지 설비가 필요함 - 슬러지탈수, 이송, 투입, 건조설비 금액이 합산 투자 되어야함 - 슬러지 건조용 에너지비용 과다함 - 개별 장비 설치로 설치공간이 많이 소요됨 - 여러개의 분산 장비로 각개 관리 필수 인력 소요 |
- 탈수진공건조공정이 하나의 장비에서 이루어짐 - 하나의 장비에서 탈수, 진공, 건조되므로 이송, 투입장비가 불필요 - 케익중 증발되는 수분과 함께 악취부분도 진공, 흡입 냉각처리함 - 이송, 투입등 부대장비 생략으로 탈수 건조 투자비가 저렴함 - 진공건조시행으로 섭씨80도에서 증발 시행, 건조 에너지 절감됨 - 탈수 진공건조 공정이 하나의 장비로 해결되므로 설치장소 축소 - 융복합기 시스템 간략화로 관리 인력 감소 |